반응형
새 학기가 시작되면 설렘과 기대감도 잠시,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학업 스트레스에 대처해야 하는 어려움이 찾아옵니다. 특히, 감염병 유행, 안전사고 위험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한다면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. 학생, 학부모, 교사, 학교관리자 각자의 역할과 실천 수칙을 자세히 알아보고, 건강한 새 학기를 위한 완벽 가이드를 따라 실천해 보세요.
학생 편 : 건강한 나를 위한 셀프 케어 습관
1. 철저한 개인 위생 관리
- 올바른 손 씻기: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꼼꼼히 씻기 (외출 후, 식사 전, 화장실 사용 후 필수)
- 기침 예절: 기침이나 재채기 시 옷소매나 휴지로 입과 코 가리기, 사용한 휴지는 즉시 휴지통에 버리기
- 마스크 착용: 사람이 많은 곳이나 환기가 어려운 공간에서는 마스크 착용하기
2.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
- 충분한 수면: 하루 8시간 이상 숙면 취하기 (취침 시간과 기상 시간 일정하게 유지)
- 균형 잡힌 식사: 아침 식사 꼭 챙겨 먹고, 채소, 과일, 단백질 골고루 섭취하기
- 알레르기 관리: 알레르기 정보 선생님께 알리고, 원인 식품 피하기
3. 비만 예방 및 건강한 식습관
- 초가공식품 줄이기: 탄산음료, 과자, 라면 등 가공식품 섭취 줄이고, 자연식품 위주로 식사하기
- 규칙적인 운동: 하루 30분 이상 꾸준히 운동하기 (줄넘기, 달리기, 자전거 타기 등)
4. 안전사고 예방 및 대처
- 안전 수칙 준수: 야외 활동 시 안전 장비 착용하고, 교통 안전 수칙 지키기
- 응급 상황 대처: 사고 발생 시 침착하게 응급 조치하고, 119 신고로 도움 요청하기
학부모 편 : 안전하고 건강한 가정환경 조성
1. 자녀 건강 상태 꼼꼼히 관리 🩺
- 균형 잡힌 식단 제공: 다양한 영양소 섭취할 수 있도록 건강한 식단 제공하기
- 올바른 위생 습관 지도: 손 씻기, 양치질 등 개인위생 관리 습관 형성 돕기
- 건강 문제 학교에 알리기: 알레르기, 천식 등 자녀의 건강 문제 학교에 알려주기
2. 예방접종 정보 확인 및 접종
- 접종 일정 확인: 자녀의 예방접종 일정 확인하고, 필수 예방접종 맞히기
- 무료 접종 활용: 학교나 보건소의 무료 접종 적극 활용하기
3. 안전 수칙 지도 및 안전 장비 마련 ️
- 교통 안전 수칙 지도: 야외 활동 시 교통 안전 수칙 준수하도록 지도하기 (횡단보도 건너기, 자전거 안전 수칙 등)
- 안전 장비 마련: 헬멧, 보호대 등 안전 장비 마련하고, 안전 장비의 중요성 인식시키기
교사 편 :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
1. 체계적인 위생 교육 및 지도
- 위생 수칙 교육: 손 씻기, 기침 예절, 마스크 착용 등 위생 수칙 교육하기
- 개인위생 관리 지도: 학생들의 개인위생 관리 상태 점검하고 지도하기
2. 신체 활동 장려 및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 지원 ⛹️♀️
- 다양한 신체 활동 참여 유도: 체육 수업, 스포츠 클럽 활동 등 다양한 신체 활동 참여 장려하기
-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 지원: 건강 교육 실시하고, 학생들의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을 위한 상담 제공하기
3. 학생 건강 상태 관찰 및 학부모와의 소통
- 학생 건강 상태 세심히 관찰: 학생들의 건강 상태를 세심히 관찰하고, 이상 징후 발견 시 학부모와 즉각 소통하기
- 학교 보건 교사 협력: 학교 보건 교사와 협력하여 학생들의 건강 문제 해결하기
4. 사고 예방 교육 및 응급 처치법 숙지
- 안전 수칙 교육: 등하굣길, 야외 활동 시 안전 수칙 숙지하도록 교육하기
- 응급 처치법 숙지: 심폐소생술, 하임리히법 등 응급 처치법 숙지하고, 응급 상황 발생 시 침착하게 대처하기
학교관리자 편 :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 시스템 구축
1. 철저한 위생 및 방역 관리 ️
- 방역 물품 비치 및 소독: 교실, 복도, 화장실 등 공용 공간에 방역 물품 비치하고, 정기적으로 환기 및 소독 실시하기
- 감염병 예방 교육: 감염병 예방 교육 실시하고, 감염병 발생 시 대응 매뉴얼 마련하기
2. 안전한 급식 환경 조성 ️
- 급식 재료 점검: 급식 재료의 신선도 및 위생 상태 점검하고, 알레르기 유발 식품 정보 제공하기
- 건강한 식단 제공: 초가공식품 최소화하고, 영양가 높은 건강한 식단 제공하기
3. 안전한 교육 시설 관리
- 정기적인 시설 점검: 학교 시설의 안전 상태 정기적으로 점검하고, 위험 요소 제거하기
- 안전 점검 매뉴얼 마련: 안전 점검 매뉴얼 마련하고, 안전 점검 결과 공개하기
4. 안전 및 건강 교육 프로그램 운영
- 교육 프로그램 운영: 교통 안전, 응급 처치, 감염병 예방 등 교육 프로그램 운영하기
- 학생, 학부모, 교사 참여 유도: 교육 프로그램에 학생, 학부모, 교사 모두 참여하도록 독려하기
건강한 새 학기, 우리 모두 함께 만들어가요!
학생, 학부모, 교사, 학교관리자 모두가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고 서로 협력한다면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오늘부터 함께 실천하여 행복한 학교생활을 만들어 보세요!
더 많은 정보는 여기서 확인하세요!
- 질병관리청: https://www.kdca.go.kr/
- 대한민국 정책브리핑: https://www.koreaherald.com/article/802269
반응형